웹팩 config 만들기
npx webpack --entry ./source/index.js --output-filename index_bundle.js -o ./public
이 명령어는 웹 팩을 실행하는 명령어 입니다.
웹 팩을 실행하려면 항상 이코드를 외우거나 다른곳에 저장한 뒤 필요할 때 찾아서 사용해야하는 번거러움이 생긴다.
또한 운영하는 프로젝트가 커질 수 록 명령으로 하는게 대단히 어려워 진다.
그래서 웹 팩에게 좀 더 체계적이고 또 보기 좋게 또 재사용하기 좋게 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컨피그레이션 파일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생성하기
webpack.config.js 파일을 생성한다. (자세한 정보는 webpack 공식 홈페이지로 들어가서, Guides → Getting Started 를 참고)
const path = require('path'); //node.js에서 파일의 경로를 쉽게 핸들링 할 수 있게 도와주는 부품
module.exports = {
entry: './source/index.js', // 입구에 해당하는 파일 입력
output: {
path: path.resolve(__dirname, 'public'),
//__dirname : 현재 webpack.config.js 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경로를 알려주는 변수
// public 이라는 하위 경로에 최종적인 결과물을 갖다 놓으라는 뜻
filename: 'index_bundle.js ',//생성될 파일의 이름
},
};
entry : 입구에 해당하는 파일 입력
__dirname : 현재 webpack.config.js 파일이 위치하고 있는 경로를 알려주는 변수
path.resolve 의 2번째 인자 : public 이라는 하위 경로에 최종적인 결과물을 갖다 놓으라는 뜻
filename: 생성될 파일의 이름
생성후에, 터미널에 npx webpack --config webpack.config.js 입력해주면 public에 내가 설정한 index_bundle.js 가 생기게 된다.
그러면 다음과 같이 정상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에 파일이름을 webpack.config.js 라는 약속된 이름으로 생성했을 경우,
npx webpack 만 입력해도 정상작동한다 .
참고
https://www.youtube.com/watch?v=cp_MeXO2fLg&list=PLuHgQVnccGMChcT9IKopFDoAIoTA-03DA
'webpack'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pack 공부하기 -2 (0) | 2023.05.27 |
---|---|
webpack 공부하기 -1 (0) | 2023.05.26 |
webpack 알아보기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