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WIL

WIL - 01

교육을 들으면서 첫주가 지났다. 

 

이번주 내에 2가지의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프로젝트

1. 토이 프로젝트(강사 페이지 만들기)

2 풀 스택 미니 프로젝트 (유기견 보호소)

 

사전 공부 내용

1. 웹 개발 종합반(스파르타 클럽)

2. poiemaweb에서 HTML, CSS, javascript 공부

3. 간간히 youtube에서 웹 프론트 강의 찾아보기

 

배운점

1. clone 코딩을 통한 웹 구조의 체계

2. github 사용 법

3. 로그인 페이지 원리

4. javascript 함수 활용

5. python 을 활용한 flask 사용법

6. DB를 이용한 데이터 활용

 

개발 소감

 

솔직히 프로젝트를 진행하기전에 큰 무리가 없을거 같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개발할 수 있는 능력에 한계가 있고, 그냥 내가 생각한 정보만 할 줄 알았다. 근데 내가 약간 우물안에 개구리가 된 느낌이었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가장 좋았던 것은 사람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어서 좋았다. 혼자 공부를 하다보면 내가 어느정도 열심히 하고 있는지를 모르고 사는거 같다. 그래서 한계를 넘어 설려고 하기 보단, 현재에 안주하려는 느낌? 추가적으로 공부하기 보다는 할만큼만 하고 더 하지 않으려는 느낌이 강했다. 

 

근데 팀으로 뭔가를 개발하려고 하니, 많은 얘기가 오고 가고 더 많은 아이디어가 나오고 더 많은 욕심이 생겼던거 같다. 

그리고 팀원들의 열정을 느낄 수 있던게 가장 좋았다. 조금이라도 더 하려고 하고, 더 좋은 기능이 없는지 같이 상의하고 개발한 내용에 대한 피드백도 공유할 수 있어서 좋았다.

 

그리고 개발을 하면서 느낀것은 아직은 많이 부족하다 라는 것을 느꼈다.

"토이 프로젝트(강사 페이지)"를 만들 때, 로그인 페이지와 Main 페이지를 개발을 했다. 내가 이거를 개발하면서 네이버 로그인 페이지를 클론코딩을 하려고 했다. 네이버 로그인 페이지를 들어가서 HTML 내용을 본 결과 내가 개발한 페이지에는 뭔가 규칙이 없다? 라고 해야될까 설계가 되지 않은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네이버의 로그인 페이지는 각각의 역할에 따라 div 박스로 잘 묶여 있었고, class 를 사용해 공통된 css를 형성한거 같고, id 를 사용해 개별적으로 css를 준 느낌? 뭔가 체계가 잡혀있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고, 내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라는걸 깨달았다. 부족하지만 clone 코딩을 하면서 조금이나마 공부하면서 습득을 할 수 있었다. 

 

 

"풀 미니 프로젝트(유기견 보호소)"를 작업할 때 가장 어려웠던 것들은 첫번째로 github 사용이었다. 나는 토이프로젝트를 통해서 github를 팀원들과 고생하면서 사용을 해본 경험이 있어 사용을 할줄 알았는데, 다른 팀원들이 github 사용에 대해 조금 미숙했다. 개개인들의 능력은 출중해서 각각의 페이지 구현은 완료 하였으나, git을 사용해 main -> dev(branch) -> (개개인의 branch) Merge를 작업하던 와중 여러 문제가 생겼고 결국 프로젝트를 재대로 완료하지 못했다. 

 

하지만 너무 나쁘게만은 생각하지 않는다. 이번에 또 여러 문제를 걸치면서 github 구조에 대해 다시한번 공부를 했고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을 수 있었어서 다음에 문제 생길땐 잘 해결해 나갈 수 있지 않을까 싶다. github를 이번에 사용하면서 좋았던 기능은 파이참 git 에서 제공하는 로컬기록이라는 항목인데 이게 있으면 내가 commit을 한 위치로 rollback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해당 시간과 내용을 미리 볼 수 가 있어 아주 좋았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drap & drop 기능을 구현하려고 했다. 근데 drap & drop 기능 대해 무지 했던 나에게 너무 어려운 내용이었다.

짧은 시간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프로젝트에는 맞지 않은 기능이었으나, 되돌리기엔 늦은감이 있었기에 많은 시간공부를 했고, 결국 미약하게 나마 구현을 할 수 있었다. drag & drop 을 통해 div 태그 안에 이미지를 넣을려는 시도를 했고, 데이터 전송 기능에 관한 dataTransfer 객체를 활용해 결국 성공을 하긴 헀다. 

 

아직까지 많이 부족하지만 지금처럼만 하면 좋은 개발자가 되지 않을까 싶다. 조금더 화이팅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