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hed Caining :
메서드가 객체를 반환하게 되면 메서드의 반환 값인 객체를 통해 또 다른 함수를 호출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래밍 패턴을 메서드 체이닝(Method Chaining) 이라 부른다.
초록색 글씨에 해당하는 부분이 이전 메서드(노란색 블럭)가 리턴하는 값이다.
이전 메서드가 리턴하는 값에 다음에 연결된 메서드가 적용된다는 점이 메서드 체이닝의 핵심이다.
function solution(strings, n) {
let answer = [];
for (i=0; i<strings.length;i++){
let nthWord = strings[i][n]
strings.splice(i, 1, nthWord+strings[i])
}
strings.sort()
for (i=0; i<strings.length;i++){
answer.push([...strings[i]].slice(1).join(''));
console.log()
}
return answer;
}
코딩테스트를 하면서 메서드 체이닝을 사용해 보았다.
strings 배열 안에는 ["acar", "ebed", "usun"]값이 들어 있었고, 이값을 읽어서 첫번째 글자를 제거하고 싶었다.
그래서 문자열을 배열로 변경을 하고 slice 함수로 0번째 인덱스를 제외한 나머지 배열로 재구성한다음 join함수를 통해 합치는
method chaining을 써서 구현해 봤다.
참조: https://velog.io/@seungsang00/JavaScript-Method-Chaining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조형 데이터 const 시 사용시 알아보기 (0) | 2023.06.07 |
---|---|
require vs import 문법 비교하기 (0) | 2023.06.07 |
스프레드 문법(...arr) (0) | 2023.02.14 |
소수 출력하는 알고리즘 (0) | 2023.02.13 |
문자열 비교 (0) | 2023.02.13 |